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아파트 관리소장의 법적 지위에 관한 판결 분석

아파트 관리소장의 법적 지위에 관한 판결 분석

 

아파트관리소장 명의로 체결된 임대차계약에 관하여 입주자대표회의는 권리를 행사할 수 있을까?
아파트 관리소장의 법적 지위에 관한 대법원 2015.1.29. 선고 2014다62657 판결이 나왔습니다.
오늘은 위 판결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구 주택법에 따라서 자치관리로 공동주택의 관리방법을 정한 아파트에서 자치관리기구 및 관리주체인 관리사무소장의 법적 지위(=입주자대표회의의 업무집행기관)와 자치관리기구의 대표자 내지 관리주체인 관리사무소장이 구 주택법령 등에서 정한 공동주택 관리업무를 집행하게 되면서 계약체결을 한 경우 계약에 기한 권리·의무의 귀속주체와 계약의 당사자는?

 

 


 


판결요지


구 주택법(2009. 12. 29. 법률 제986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조 제14호 (가)목, 제43조 제4항, 제55조 제1항, 제2항, 구 주택법 시행령(2010. 3. 15. 대통령령 제2207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1조 제1항 제4호, 제53조 제1항 [별표 4], 제2항, 제3항, 제4항, 제55조 제1항, 제72조, 구 주택법 시행규칙(2010. 7. 6. 국토해양부령 제260호로 개정이 되기 전의 것) 제25조, 제32조의 체계 및 내용과 더불어, 자치관리기구의 대표자인 관리사무소장을 비롯한 직원들은 입주자대표회의와 관계에서 피용자의 지위에 있음을 감안할 때에 자치관리기구가 일정한 인적 조직과 물적 시설을 갖추고 있다는 것만으로 단체로 실체를 갖춘 비법인사단으로 볼 수 없는 점, 구 주택법령과 그에 따른 관리규약에서 관리주체인 관리사무소장으로 하여금 그 명의로 공동주택의 관리업무에 관한 계약체결을 하도록 하는 등 일정 부분 관리업무의 독자성을 부여를 한 것은, 주택관리사나 주택관리사보의 자격을 가진  관리사무소장에 의한 업무집행을 통해서 입주자대표회의 내부의 난맥상 극복을 하고 공동주택의 적정한 관리도모를 하기 위한 취지일 뿐, 그러한 사정만으로 관리주체인 관리사무소장이라는 지위 자체에 사법상의 권리능력인정을 하기는 어려운 점 등을 종합해보면, 구 주택법에 따라서 자치관리로 공동주택의 관리방법을 정한 아파트에서 자치관리기구 및 관리주체인 관리사무소장은 비법인사단인 입주자대표회의의 업무집행기관에 해당할 뿐 권리·의무의 귀속주체로 볼 수 없다.

 

따라서 자치관리기구의 대표자 내지 관리주체인 관리사무소장이 구 주택법령과 그에 따른 관리규약에서 정한 공동주택의 관리업무를 집행하면서 체결한 계약에 기한 권리 및 의무는 비법인사단인 입주자대표회의에게 귀속되며, 그러한 계약의 당사자는 비법인사단인 입주자대표회의라고 할 것이다. (대법원 2015.1.29, 선고, 2014다62657, 판결)

 

 

위 대법원 판결의 요점을 정리하면, 관리사무소장은 입주자대표회의가 고용한 자로서 입주자대표회의의 업무집행기관에 해당할 뿐이므로, 관리사무소장이 체결한 계약에 기한 권리 및 의무는 입주자대표회의에게 귀속되고, 계약의 당사자도 입주자대표회의라는 것입니다.

 

 

 

 

 

 

아파트 관리소장의 법적 지위에 관한 대법원판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부동산 관련 법적 분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변호사의 도움을 받으며 대응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부동산분쟁변호사 한병진변호사에게 의뢰하여 주신다면, 친절하고 명쾌한 상담과 체계적인 소송수행을 통해서 해결하여 드리겠습니다.